ㅇ 브레튼 우즈 체제는 비록 붕괴되었지만, 미국 달러가 세계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브레튼 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4년 7월, 미국 뉴햄프셔주의 브레튼 우즈에서 44개 연합국 대표들이 모여 수립한 전후 세계 경제 질서를 위한 국제 통화 및 금융 체제이다.
이 체제의 핵심 목표는 1930년대 대공황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불안정한 환율과 보호무역주의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국제 통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세계 무역을 활성화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브레튼 우즈 체제의 핵심 내용
브레튼 우즈 체제는 크게 두 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금환본위제' (Gold-Exchange Standard)
미국 달러화를 기축 통화로 설정했다.
미국 정부는 금 1온스를 $35의 고정된 가격으로 교환해 줄 것을 보장했다 (금 태환 보증).
다른 회원국들은 자국 통화의 가치를 미국 달러화에 고정시켰다 (고정 환율제). 즉, 달러가 금에 고정되고, 다른 모든 통화가 달러에 고정되는 방식이었다.
미국 달러화를 기축 통화로 설정했다.
미국 정부는 금 1온스를 $35의 고정된 가격으로 교환해 줄 것을 보장했다 (금 태환 보증).
다른 회원국들은 자국 통화의 가치를 미국 달러화에 고정시켰다 (고정 환율제). 즉, 달러가 금에 고정되고, 다른 모든 통화가 달러에 고정되는 방식이었다.
															주요 국제 경제 기구 창설
국제통화기금 (IMF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회원국들의 국제 수지 불균형을 조정하고 외환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단기 자금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고정 환율제를 감시하고 유지하는 임무도 수행했다.
국제부흥개발은행 (IBRD –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현재 세계은행(World Bank)의 모태가 된 기구로, 전쟁으로 파괴된 국가들의 재건과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위한 장기 자금을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브레튼 우즈 체제의 붕괴
이 체제는 1970년대 초까지 약 30년간 전후 세계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이 베트남 전쟁 등으로 막대한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무역 수지가 악화되면서 달러화의 가치가 하락하기 시작했다.
시중에 풀린 달러의 양은 급증한 반면, 미국의 금 보유량은 줄어들어 더 이상 $35로 금 태환을 보장하기 어려워졌다.
닉슨 쇼크 (Nixon Shock, 1971년): 1971년 8월,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이 달러화의 금 태환 정지를 전격 선언했다. 이는 브레튼 우즈 체제의 근간이었던 ‘달러와 금의 연결고리’가 끊어졌음을 의미했다.
스미소니언 협정 (1971년 12월): 주요국들이 달러화 가치를 절하하고 환율 변동폭을 확대하는 등 체제를 유지하려 시도했으나, 이는 임시방편에 그쳤다.
변동 환율제 도입 (1973년): 결국 1973년, 주요 선진국들이 고정 환율제를 포기하고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자유롭게 변동하는 ‘변동 환율제’를 채택하면서 브레튼 우즈 체제는 사실상 붕괴되었다.
브레튼 우즈 체제는 비록 붕괴되었지만, 미국 달러가 세계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체제 하에 설립된 IMF와 세계은행(World Bank)은 오늘날까지도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