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협상-핵잠수함 건조를 위해 앞으로 무엇이 더 필요한가?

이번 협상은 크게 ‘안보’와 ‘경제’라는 두 개의 거대한 축으로 진행됐다.

10월 29일, 한미 양국이 방위비, 관세, 그리고 핵잠수함 문제까지 포함된 그야말로 ‘초대형 협상’에 최종 타결됐다.

하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동맹’이라는 말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주고받기’가 명확한, 트럼프 행정부와의 철저한 거래적 동맹(Transactional Alliance)’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다.

미국은 ‘안보’를 제공하는 대가로 막대한 ‘비용’을 요구했고, 한국은 ‘비용’을 지불하는 대가로 ‘핵심 이익’을 관철시키려 했다.

핵심 쟁점 요약

이번 협상은 크게 ‘안보’와 ‘경제’라는 두 개의 거대한 축으로 진행됐다. 협상의 본질은 ‘안보를 제공하는 비용(방위비)’과 ‘동맹국의 역할(대미 투자)’을 요구하는 미국에 맞서, 한국이 ‘핵심 안보 위협(북핵)’에 대한 더 강력한 보장과 ‘경제적 실익(관세)’을 확보하려 한 ‘거래적 협상’이었다.

안보 분야 핵심 쟁점
항목미국측 요구한국측 요구
방위비 분담대폭 증액 및 신규 항목(인건비, 역외훈련비) 추가 요구합리적 수준의 인상 및 5년 단위의 안정적 협정 유지.
핵심 안보'철통같은 확장 억제' 재확인 (방위비 증액의 근거로 활용)핵추진 잠수함(SSN)용 핵연료(고농축 우라늄) 공급 강력 요청.
원자력 협력'비확산(NPT)' 원칙 고수 (SSN 연료 공급에 소극적)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원전 연료) 권한 확보.
대북 정책억지력 향상 필요성 강조 (비용 분담과 연계)'피스메이커' 역할 기반의 단계적 비핵화 공조.
경제 분야 핵심 쟁점
항목미국측 요구한국측 요구
핵심 통상자동차 25% 고율 관세 부과 위협 (협상 지렛대)자동차 25% 관세 위협 완전 제거 (최우선 목표)
투자3,500억 달러 투자 패키지 요구 (현금 2,000억 달러)3,500억 달러 수용. 단, 현금 유출 충격 완화.
투자조건현금 투자 '연간 250억 달러 이상' 즉시 집행 요구.현금 투자 '연간 상한선(Cap)' 설정 (당초 150억 달러 제시)
시장 개방쇠고기, 오렌지 등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 요구.쌀 등 핵심 민감 품목 추가 개방 방어.
태그

Leave a Reply

지도로 보는 지정학,역사,경제

지오스토리

로그인 하시고 모든 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독하히고 회원 전용 컨텐츠를 받아보세요

무료회원
0
모든 내용을 무료로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정회원
10 달러(1,4000원)/년
원화 무통장 입금시(1,4000원/년)이며 회원 전용 컨텐츠를 읽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