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및 생산시설 집중 강타, 러시아 미사일 공급망 차단…
▶ 출격진적 회의 모습
이스라엘 보복공격 감행
이스라엘은 4월 26일 테헤란, 후제스탄, 일람 지방의 일부 군사 기지를 공격했다. 약 20곳의 미사일 기지와 드론기지, 그리고 방공 시설과 이를 생산하는 시설이 공격받았다. IDF는 이란을 공격한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이스라엘 소식통에 따르면 3차례의 공격에 전투기 100대가 투입됐다고 한다. 총리실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는 공격 당시 텔아비브의 키리아 군사 기지에 있는 벙커에 있었다고 한다.
Axios는이스라엘이 ” 회개의 날들( “Days of Repentance “)이라는 코드명으로 작전을 수행했다고 보도 했다. 이란군은 이스라엘 공습으로 후제스탄주(Khuzestan province) 마흐샤르(Masha)에서 이란 군인 2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함께보기
이란 피격시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이스라엘군이 피격한 이란 시설은 20여 군데로 알려졌다. 테헤란과 후세 스탄 주(Khuzestan province), 이람(Ilam provice)에 있는 시설들이다. 이란 남쪽 시라즈(Shiraz) 미사일 발사 사이트로 포함되어 있다. 이스라엘이 폭격한 사이트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 미사일 방어시스템
- 미사일 발사기지
- 드론 및 미사일 생산시설
현재까지는 그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명확하게 밝혀 진 것은 없다. IDF에 따르면 이란에 대한 공격은 끝났으며 이스라엘 전투기는 미사일 제조 시설, 지대공 미사일 , 방공 시스템 등 군사적 목표물을 공격한 후 귀환했다고 밝혔다.
이란 언론은 이란의 방공망이 테헤란주변 영공에서 이스라엘 미사일을 성공적요격했다고 주장하면서 IDF의 공격으로 일람 주와 후제스탄 주에서도 “제한된 피해”가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함께보기
주목해 할 피격 지점
주목해야 할 피격 지점은 대공방어 시스템이나 미사일 발사기지보다 이란 내 드론과 미사일 생산기지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피격 대상 시설은 테헤란시 중심부에서 약 43km 지점의 샤히드 모다레스 기지(Shahid Modarres base) 기지와 동쪽 25km 지점의 코지르 미사일 생산단지(Khojir missile production complex)이다. 다른 한 곳은 이 미사일 생산단지에서 동남쪽으로 20km 떨어진 파르친 군사 복합단지 내 미사일 생산 시설과 고폭시험 장 내 한 건물이다.
이란은 드론 과 미사일 생산량의 증대를 해왔다. 로이터는 지난 7월 7일 이란이 샤히드 모다레스 기지와 코지르 미사일 생산단지에 대하여 대규모 확장공사를 하고 있다고 보도 했다. 로이터는 코지르 단지는 2023년 8월부터 공사가 시작되었고 샤히드 모다레스 기지는 2023년 10월 제작되었다고 평가했다.[1] 이란은 이 두 곳에 30개 이상의 건물을 신축 중이었다. 이 시설에서 생산된 드론과 미사일을 러시아, 예멘의 후티, 레바논 헤즈볼라에 보내질 것이다.
미국과 타격지점 논의
주요시설 3곳 중 두 생산기지는 미국과 긴밀한 협의로 선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초기부터 샤히드(Shahid 13) 드론을 러시아에 제공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내에서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설비도 제공해 주었다.
함께보기
또한 지난 7월 이란은 서방의 경고를 무시하고 러시아에 단거리 탄도미사일 수백 발을 보냈다 서방 언론들은 보도했다. 주요 매체들은 이란이 러시아에 보낸 미사일은 사거리 120km인 ‘파타흐 360(Fath 360)’이고, 200발 이상 보냈다고 한다. [2] 이 두 생산기지에서 생산된 드론과 미사일 것으로 추정된다.
뉴욕타임스는 백악관과 국방부 관리들은 최근 며칠 동안 이스라엘과 긴밀히 협의하여 이스라엘이 이란에 발사할 목표의 범위와 유형에 대해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3] 이러한 정황은 SNS의 한 계정에 노출된 미 국방성 국가지리정보국 ‘극비 정보 문서’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이스라엘군 내부의 공격 준비 정황이 담긴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함께보기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이란 내 드론과 미사일 기지가 손상을 입었다면 이란의 신규 재고 확보뿐만아니라 후티나 헤즈볼라에 대한 드론과 미사일 공급도 차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미국의 입장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미사일과 드론 공급망을 훼손시킴으로써 불리해진 우크라이나 전황을 지연시키는 1석 3조의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는 곧 러-우 전쟁도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임을 암시한 것이다.
관련내용
참조자료
[1] Jonathan Landay and Parisa Hafezi, Exclusive: Satellite photos show Iran expanding missile production, Reuters, July 9, 2024
[2] 미 블링컨 “이란, 미사일 러시아에 보내…제재”, VOAKOREA, 2024.9.10
[3] Patrick Kingsley, Ronen Bergman, and Farnaz Fassihi, Here are the latest developments. The New York Times, Oct. 25,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