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정(普淨) 서길수 박사의 인문학 강의 중 ” 불교 사상의 이해”의 내용을 포스팅 한다.
59

보정(普淨) 서길수 박사
보정(普淨) 서길수는 역사가이자 저술가이다.
세계 에스페란토 불교 연맹 회장, 고구리ㆍ고리연구소 이사장, 전 서경대 교수
2007. ~ 현재 맑은나라 불교연구소 이사장
소개
경제사를 정공하였으며, 에스페란토 운동에 참여하여 국내 에스페란토 전국화와 조직통합에 큰 기여를 했다. 1990년대 들어 고구려 역사유적을 답사하며 고구려·발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하여 《고구려 축성법 연구》등 16권의 고구려 관련 저술을 남겼다.
튀임 후 불교에 귀의하고 정토선(淨土禪) 수행을 하며 남은 여생을 마무리 하기 위한 삶을 준비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이 학계와 정부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치밀하게 진행되고 그 결과로 우리 역사에 대한 침탈을 공식화했다는 사실을 알고 이를 대중에 알리고 있다.
서길수 교수의 "불교 사상의 이해"
불교 사상의 고갱이(核心)를 쉽게 간추린다.
흔히 불교는 형이상학적이고 가까이 가기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으나
붇다는 모든 사람이 알 수 있도록 쉽게 말씀하셨다.
불교 사상의 생성과 발전 배경을 역사적으로 조명한다.
2500년 불교 흐름의 맥락을 간단히 짚어본다.
실생활에서 실천하여 살아있는 동안 이득을 볼 수 있는 법을 익힌다.
우리에게 종교는 무엇인가? 사는데 이롭고 죽는데도 이로워야 한다.
목차
- 불교란 무엇인가?
- 인도 사회와 사상
- 사까무니 붙다의 한살이
- 붇다 가르침의 알짬-4가지 거룩한 진리
- 괴로움이란 진리
- 괴로움이 생겨나는 진리
- 괴로움이 없어지는 진리
- 8가지 괴로움을 없애는 길(八正道) (1)
- 8가지 괴로움을 없애는 길(八正道) (2)
-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태어남
- 대승불교 경전: 금강경과 반야심경
- 대승불교 경전: 법화경,화엄경,정토경전
- 밀교의 발생과 인도 불교의 쇠퇴
- 과학과 불교
- 불다의 가르침-실천과 수행
김용현 국방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