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새판짜기 프레임워크와 선택 옵션

새판짜기를 위해 상대해야 할 대상은 예멘의 후티가 아니라 이란이다.

목차

무위로 돌아간 3단계 협상 프레임워크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오랜 분쟁은 가자 지구에 심각한 인도적 위기를 야기했으며, 2025년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체결된 3단계 휴전 협상은 이러한 파괴적인 상황에 대한 일시적인 희망을 제시했다. 1년 이상 지속된 격렬한 전투와 막대한 인명 피해는 양측 모두에게 휴전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만들었으며, 카타르, 이집트, 미국의 중재 하에 이루어진 이 협상은 국제 사회의 깊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3단계 협상 프레임워크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 협상은 각 42일(6주)씩 지속되는 3단계의 연속적인 계획으로 구상되었다. 이 협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가자 지구에 억류된 모든 이스라엘 인질의 석방, 상당수의 팔레스타인 수감자 석방, “지속 가능한 평온”의 달성, 그리고 궁극적으로 가자 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점령과 봉쇄를 종료하는 것이었다.

각 단계는 점진적인 신뢰 구축과 더불어 복잡한 문제들을 단계적으로 해결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양측의 근본적인 목표 차이는 협상 과정 전반에 걸쳐 주요한 난관으로 작용했다. 이스라엘은 자국 인질의 귀환과 안보 확보에 최우선 순위를 두었던 반면, 하마스는 가자 지구 봉쇄 해제와 이스라엘군의 완전 철수를 핵심 목표로 설정했다.

단계별 협상 내용

  • 6주 휴전

  • 하마스 33명 이스라엘 인질 석방 (여성, 아동, 노인, 부상자 우선)

  • 이스라엘 최대 1,904명 팔레스타인 수감자 석방 (종신형 포함

  • 이스라엘군 가자 지구 일부 지역 점진적 철수

  • 팔레스타인 피난민 북부 가자 귀환 허용

  • 매일 600대 인도적 지원 트럭 (연료 트럭 50대 포함) 반입

  • 이스라엘군 하루 10-12시간 가자 상공 군사 비행 중단

  • 양측 “지속 가능한 평온” 합의 및 이스라엘군 가자 지구 완전 철수 조건 하에 하마스 남은 모든 생존 이스라엘 남성 인질 (민간인 및 군인) 석방,
  • 이스라엘 추가 팔레스타인 수감자 석방 (합의된 수)
  • 하마스 사망한 이스라엘 인질 유해 석방,
  • 이스라엘 사망한 팔레스타인인 유해 인도,
  • 이스라엘 가자 지구 봉쇄 완전 해제,
  • 하마스 군사력 재건 불가 약속,
  • 이집트/카타르/유엔 감독 하 가자 지구 재건 계획 시작

1단계 협상 종료 및 2단계협상무산

양측다 모두 1단계 협상 준수했다. 그러나 협상이 끝나가자 이스라엘은 1단계 협상 연장을 요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특사 윗코프는 2단계 협상안으로 하마스가 가자지구에서 떠나라고 제안한다. 

협상이 3단계까지 진전되지 못하고 결렬된 데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했다. 가장 큰 원인은 1단계의 임시 휴전에서 2단계의 영구 휴전으로 넘어가는 데 대한 이스라엘 및 미국측과 하마스 간의 근본적인 입장 차이였다. 네타냐후와 트럼프는 하마스의 군사적 능력을 완전히 제거하고 가자 지구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시키기 전에는 영구적인 휴전에 동의하기를 꺼려했다.

반면 하마스는 남은 이스라엘 인질을 석방하는 조건으로 가자 지구에서의 완전한 이스라엘군 철수와 전쟁의 완전한 종식을 보장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이러한 핵심 요구 사항에 대한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서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1단계 협상이 종료  된다.

이스라엘 폭격으로 폐허가 된 가자 

이스라엘군의 가자 재진입

네타냐후는 1단계 협상이 종료되자 즉시 가자 지구를 폭격했고, 네차림 회랑(Netzarim Coridor, 지도에서 깜박이는 선)으로 지상군을 투입해 다시 하마스 소탕 작전에 들어간다. 이번 공격으로 가자시만 약 400명이 사망했다. 네타냐후는 성명을 내고 이번 학살의 책임은 모두 2단계 휴전 협상을 받아들이지 않은 하마스에 있다고 했다. 

네차림 회랑은 남부로 피난온 주민들이 북쪽의 집으로 돌아가려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지역입니다. 하마스 소탕을 명분으로 이스라엘군은 네차림 코리도 북쪽에 있는 수십만명의 주민들을 강제로 남부로몰아냈다, 1단계 휴전 협정으로 짧은 기간 길이 열려, 주민 일부가 고향으로 갈 수 있었다.

하마스 소탕계획구역
하마스 소탕완료구역

왼쪽 지도는 이스라엘이 하마스 소탕을 위해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구획을 구분해 놓은 곳이며, 단계적으로 대피령을 내렸던 곳이다. 오른쪽 지도는 그동안 하마스를 소탕한 최대 지역(붉은색)을 표시한 것이다. 이스라엘군이 아직 소탕작전을 하지 않은 곳에 약 3000명의 하마스 가 있다. 

네타냐후의 1차 협상연장 주장으로 2차 협상을 무산시킨 것은 가자지구 평화보다는 하마스 제거의도가 더 강하게 있었다. 1차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으로 마지 못해 한듯 하다. 가자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생생내기게 불과했다.

가자시에서 남쪽으로 강대 대피하는 가자 주민들

예멘 후티의 공격재개 선언

1차 협상기간동안  홍해를 지나는 이스라엘 관련 선박과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예멘의 후티(안사르 알라)는 1차  협상이 종료되고, 2차협상이 무산되자 다시 홍해를 지나는 이스라엘 선박과 이스라엘을 향해 공격을 하겠다고 선언한다. 

미국의 후티 폭격

트럼프 대통령은 예멘 후티의 이런 협박이 있자 즉각적으로 후티 공격명령을 내렸고,  3월 15일부터 이틀동안  최소 47회의 공습이 예멘 전역의 여러 지역, 특히 수도 사나와 사다 주를 강타했다 . 

토요일에 시작된 공습으로 최소 53명이 사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의 화약고에 다시 불을 붙였고, 중동의 정세는 다시 화염에 휩싸이게 된다

미국공습 관련영상

미국의 중동 새판짜기 신호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중동 정책과 관계는 냉전 시대의 소련 봉쇄에서 9.11 테러 이후의 테러와의 전쟁, 그리고 최근의 강대국 경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표와 전략 변화를 겪어왔다.

미국의 중동 지역 영향력은 정책 실패, 지역 및 글로벌 경쟁 심화, 미국의 우선순위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군사 개입은 종종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했으며, 전통적인 동맹 관계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미국의 중동 직접적 군사개입

연도(들)작전명 위치주요 사건명시된 목표주요 결과
1958블루배트 작전레바논미 해병대 베이루트 상륙급진 혁명 방지, 친서방 정부 지원단기적으로 목표 달성, 평화적 해결
1983해당 없음레바논미 해병대 병영 폭탄 테러다국적 평화 유지군 참여 241명 미군 사망, 미군 철수
1980이글 클로 작전이란테헤란 미국 대사관 인질 구출 시도미국 인질 구출 작전 실패
1990-1991데저트 쉴드/데저트 스톰쿠웨이트, 이라크이라크, 쿠웨이트 침공, 다국적군 개입쿠웨이트 해방 쿠웨이트 해방 성공
2001-2021엔듀어링 프리덤 작전아프가니스탄9.11 테러 대응, 알카에다 및 탈레반 축출테러리즘 근절, 안정적인 아프간 정부 수립 장기 목표 실패, 탈레반 재집권, 높은 인명 및 재정적 비용
2003-2011 (지속적 주둔)이라크 자유 작전이라크이라크 침공, 사담 후세인 축출대량 살상 무기 제거 (주장), 이라크 민주화 대량 살상 무기 발견 실패, 지역 불안정 심화, ISIS 발흥, 높은 인명 및 재정적 비용
2011-현재해당 없음리비아리비아 내전 개입, 카다피 축출민간인 보호 (주장) 카다피 축출, 이후 국가 실패 상태 및 내전 지속
2011-현재해당 없음시리아시리아 내전 개입, 반 ISIS 세력 지원ISIS 격퇴 ISIS 영토 축소, 시리아 내전 지속, 복잡한 다자간 개입
2014-현재해당 없음이라크, 시리아ISIS 격퇴 작전 지속ISIS 완전 소탕 ISIS 세력 약화, 잔존 세력 및 이념적 위협 지속
2015-현재 예멘사우디 주도 연합군 지원친 사우디 정부 지원, 후티 반군 억제 1인도주의적 위기 심화, 후티 반군 세력 지속
최근 예멘후티 반군 통제 지역 공습홍해 항행 안전 확보 후티 반군 공격 지속 여부 불확실

미국의 간접적 군사 개입

기간

지역

개입 성격

목표

결과

1953-1979

이란 (팔레비 국왕)

군사 지원, 훈련, 정보 제공, 쿠데타 지원

석유 이권 확보, 소련 영향력 확대 저지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친미 정권 붕괴, 반미 감정 심화

1949

시리아

쿠데타 지원

친미 정권 수립

장기적 불안정 야기 가능성

1963

이라크 (바트당)

쿠데타 지원, 정보 제공

친미 정권 수립, 공산주의 세력 약화

1972년 이라크 석유 국유화 등 예상치 못한 결과 초래

1980-1988

이라크 (사담 후세인)

자금, 무기, 기술, 정보 제공

이란의 승리 방지, 양국 약화

사담 후세인 정권 강화, 1990년 쿠웨이트 침공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

1979-1992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

자금, 무기, 훈련 제공

소련 영향력 확대 저지, 소련군 철수 유도

소련군 철수, 극단주의 무장 세력 성장 및 9.11 테러의 원인 제공

2011-현재

시리아 (반군, SDF)

무기, 훈련, 정보 제공

아사드 정권 축출, ISIS 격퇴

시리아 내전 장기화, 복잡한 갈등 구도 형성

지속적

이스라엘, 기타 동맹국

군사 원조, 무기 판매, 훈련 협력

동맹국 안보 강화, 미국 영향력 유지

지역 내 군비 경쟁 심화, 갈등 지속 가능성

미국의 중동 새판짜기 출발점, 후티공격

현재 미국의 중동 정책은 테러 방지, 이란 견제, 이스라엘 안보 지원이라는 핵심 목표를 유지하면서도, 인도주의적 위기, 지역 확전 방지, 강대국 경쟁 심화와 같은 새로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트럼프는 이번 예멘 후티에 대한 대대적 공격은 중동의 새판짜기 시도일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는 팔레스타인, 레바논, 시리아를 이스라엘과 미국의 관리하게 두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친미 국가인 요르단과 미국이 장악하고 있는 이라크를 포함하면 중동은 이란의 영향력이 무력화되고, 이스라엘 중심으로 중동을 재편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직 미국과 이스라엘이 장악하지 못한 나라가 예멘이다. 후티의 전면적 공격은 이미 오래전에 계획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중동의 패권을 차지하려는 지정학적 이슈 외에도 트럼프의 중요한 전략적 의도 중 하나는 지중해와 아시아를 연결하는 수로인 홍해의 주도권을 미국이 차지하겠다는 계산도 깔려있다.

중동 새판짜기 프레임워크

트럼프 대통령의 예멘 후티를 상대한 대대적 공격과 디에고 가르시아에 B-2 폭격기를 배치하고, 홍해에 전례없이 2대의 항공모함을 배치한 것은 단순히 우방인 이스라엘을 돕는 목적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명분은 테러 집단으로, 집단으로 지정한 예멘 후티를 소탕하는 두면서 중동 세력 재편과 중동에서 패권을 재확보하는 데 있을 것이다.

그 새판짜기를 위해 상대해야 할 대상은 예멘의 후티가 아니라 이란이다.

프레임워크

미국의 입장에서는 중동에서 해야하는 것과 하고싶은 것, 그리고 할  수 있는 것이 있을 것이다. 프레임워크 모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하곳 싶은 것에 집중한다. 트럼프가 중동에서 하고싶은  중동패권 재확보 혹은 강화이다. 

  • 목적: 중동 패권강화 혹은 재확보
  • 이득: 2차적 목적(경제적,군사적,지정학적)
  • 선택옵션: 2차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 할 수 있는 옵션
  • 행동: 옵션의 선택(의사결정)
  • 결과: 행동의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새판짜기 프레임워크와 선택 옵션

미국의 주된 행동의 대상의 대상국가는 이란이기 때문에 이란도 미국의 행동에 대응하여 의사결정을 할 것이다. 이 쌍자의 의사결정은 크게 전쟁이나 평화협상이냐 밖에 없다.

  • 미국의 선택지:  (1) 이란 상대 직접 군사활동 (2) 협상
  • 이란의 선택지:  (1) 대응공격 (2) 협상


현재 미국과 이란은 미국의 최대 압박 속에, 물밑에서 협상이 진행 중이다. 이 협상이 결렬되면 중동은 여태까지 상상하지 못했던 최악의 상황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 행동에는 비용이 들게 마련이고 양측 모두 감당할 수 있을지 아무도 예측하기 어렵다.

미국의 선택 옵션

아래 로직 트리(Logic Tree)는 미국의 목적과 얻고자 하는 이득, 그리고 이러한 이득을 얻기 위해 필요한 선택 옵션을 정리한 것이다. 로직 트리에서 레벨3까지는 이득에 관한 것이고, 그 하위 노드는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옵션들이다. 트럼프는 이 옵션 중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을 선택할 것이다.

도트(Dot)로 표시된 옵션을 선택하면 하위 노드가 펼쳐집니다.

해방 80주년 특집

카이로 선언과 한반도

최신 뉴스를 받아 보세요

새로운 소식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