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 달리오의 우려 “경기침체보다 더 무서운 것이 오고 있다”

레이 달리오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략이 “경기 침체보다 훨씬 더 나쁜 상황”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 레이 달리오(Ray Dalio)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인 레이 달리오가 세계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관세정책의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2022년 “변화하는 세계 질서”라는 책을 출간하였고 최근 신간 “국가가 파산하는 방법”을 썼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과 급증하는 부채가 세계 금융 시스템의 붕괴를 촉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일요일에 NBC의 Meet the Press에 출현했던 레이달리오는 현재 세계가 정치적, 경제적, 지정학적 질서에  심오한 변화가 있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고 말했다. 

NBC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의 재정 불균형, 내부 갈등, 그리고 국제 질서 변화라는 세 가지 주요한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경기 침체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러한 위기가 1930년대와 유사하며, 특히 통화 시스템의 붕괴, 극심한 국내 갈등, 그리고 국제적인 군사적 충돌까지 야기할 수 있음을 우려하며, 정부 부채를 GDP의 3% 수준으로 감축하고, 국내외적으로 협력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Ray Dalio's Concern(레이 달리오의 우려)

레이 달리오는 인터뷰에서 역사를 움직이는 5가지 힘을 언급하며, 현재 이 5가지의 우려가 현실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1. 돈, 신용, 부채, 경제 순환(money credit debt economic cycle): 부채가 주기적으로 너무 커져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
  2. 내부 갈등(internal conflict force): 좌우 이념 차이, 부와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정치 질서가 변화하는 현상.
  3. 세계 질서(great world order): 떠오르는 강대국이 기존 강대국에 도전하면서 국가 간 관계가 변화하고 갈등이 발생하는 현상.
  4. 기술(technology): 기술 변화 자체와 그로 인한 영향.
  5. 자연재해(acts of nature): 가뭄, 홍수, 전염병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사건

금융문제(Financial Problem)

달리오는, 역사를 움직이는 가장 중요한 힘 중 하나는 돈, 신용, 부채의 경제적 순환이며, 이 순환 과정에서 부채가 과도하게 쌓이면 필연적으로 문제를 야기한다고 했다.  그는 특히 정부 부채 문제(government debt problem)를 우려하며, 이는 통화 질서의 변화(changing our monetary order)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세수 확보 및 국내 제조업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현실적인 목표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 시행 방식이 매우 파괴적(very disruptive)이라고 평가한다. 그는 관세가 전 세계 생산 시스템의 효율성에 막대한 비용을 초래하고, 결국 금융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내부 갈등(internal conflict)

그는 역사를 움직이는 주요한 힘 중 하나는 내부 갈등의 힘인데, 이는 좌파와 우파의 차이, 부와 가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이며, 현재 정치 질서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봤다.  그는 더 큰 우려를 세 가지 주요 변화, 즉 통화 질서의 변화(changing our monetary order), 국내 정치 질서의 변화(changing our political order internally), 그리고 세계 질서의 변화(the great world order)로 요약하고, 내부 갈등은 이 중 국내 정치 질서의 변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했다. 

세계 질서(World Order)

달리오는 역사를 움직이는 중요한 힘 중 하나는 국가들이 서로를 대하는 방식(how countries deal with each other)이며, 특히 떠오르는 강대국이 기존 강대국에 도전하는 상황(when there’s a rising power challenging existing power)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는 현재 상황을  다자주의(multilateralism)에서 일방주의(unilateral world order)로 이동하는 시기로 진단하며, 이는 큰 갈등(great conflict)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연재해(acts of nature)

달리오는  예측 불가능하고 때로는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도 역사를 움직이는 중요한 힘으로 꼽았다. 자연재해는 다른 불안정 요인들과 결합하여 기존 질서를 더욱 악화시키고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기술 변화(technology changing)

역사를 움직이는 중요한 힘 중 하나는 기술의 변화이다. 달리오는 기술 변화를 다른 주요 역사적 동력들과 나란히 언급함으로써, 이것이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도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기술 변화는 경제 구조, 사회 시스템, 국제 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달리 그가 우려하는 다른 변화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큰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세문제(TAriffs)

달리오는 관세 문제를 훨씬 더 큰 문제의 ‘증상(symptom)’으로 간주합니다. 달리오는 현재 상황이 1930년대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하며, 당시에도 관세, 부채, 그리고 떠오르는 강대국의 도전과 같은 요소들이 국제 질서를 불안정하게 만들었음을 상기시킨다.

따라서 그는 현재의 관세 정책을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기존 질서를 파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L달리오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그가 설명하는 복잡한 도전들의 혼합을 악화시키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그것이 얼마나 잘 처리되는지의 문제(a function of how well they’re handled)라고 답한다.

그는 세수 확보, 제조업 및 일자리 창출에 대한 열망은 현실적인 목표이지만,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실용적인 방식인지, 안정적인 방식인지, 상호 문제 해결을 위한 질 높은 협상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혼란스럽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큰 갈등을 야기하는지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물경제를 이해 하지 못하는 관세정책

달리오는 현재까지의 관세 시행은  매우 파괴적(very disruptive)이었다고 평가하며, 이것이 90일 후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언급한다다. 그는 관세가 전 세계 생산 시스템에 돌을 던지는 것과 같아(like throwing rocks into the production system) 전체 효율성에 엄청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 침체(recession) 가능성과 그보다 더 심각한 상황(worse than recession)

레이 달이오는 현재의 상황을 역사적으로 모든 것을 움직이는 다섯 가지 큰 힘의 상호작용으로 분석하며, 이 중 특히 통화 질서의 변화(changing our monetary order), 국내 정치 질서의 변화(changing our political order internally), 그리고 거대한 세계 질서의 변화(the great world order)가 경기 침체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합한다.

달리오는 경기 침체를 GDP가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며,, 이러한 현상은 통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 지만,  그의 더 큰 우려는 단순히 경기 침체를 넘어선다. 그는 현재를  중대한 의사 결정 시점(decision makingaking point)이자 경기 침체에 매우 가까운 시점(very close to a recession)으로 진단하며, 상황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경기 침체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something worse than a recession)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달리오가 언급하는 ‘경기 침체보다 더 심각한 상황’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 통화 질서의 붕괴(breaking down of the monetary order): 과도한 정부 부채로 인해 통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고, 달러 가치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며, 심각한 통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는 이를 1971년의 금본위제 폐지나 2008년 금융 위기와 비교하며, 이러한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면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국내 질서의 심각한 변화(profound changes in our domestic order): 좌우 이념 및 부의 격차,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내부 갈등이 심화되어 정치 질서가 불안정해지는 상황을 의미한다.
  • 세계 질서의 심각한 변화(profound changes in the world order): 다자주의에서 일방주의로의 전환 과정에서 기존 강대국에 도전하는 신흥 강대국으로 인해 국가 간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이다다. 달리오는 현재의 관세 문제가 이러한 더 큰 문제의 증상(symptom)이라고 지적하며, 이는 큰 갈등(great conflict)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는 1930년대의의 관세, 부채, 강대국 간의 경쟁 등이 국제 질서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던 역사를 상기시켰다

달리오의 최악의 시나리오(worst-case scenario)세계 경제에 매우 파괴적인 국제적 갈등, 심지어 군사적 충돌(highly disruptive to the world economy and could even be a military conflict)까지 포함한다. 그는 이러한 질서의 붕괴가 과거에도 반복적으로 발생했으며, 1945년에 새로운 통화 및 지정학적 질서가 시작되었던 것처럼 현재도 유사한 변화의 시기에 놓여 있을 수 있다고 우려다

해결책(solution)

그는 현재 세계가 직면한 복잡한 도전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몇 가지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이는 그의 다섯 가지 주요 역사적 동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달리오는 이러한 해결책들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단순히 경기 침체를 넘어 통화 질서의 붕괴, 국내 질서의 심각한 변화, 국제적 갈등 심화와 같은 “경기 침체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something worse than a recession)”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가 제시한 3가지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GDP의 3% 수준으로 재정 적자 감축

달리오는 현재 미국의 재정 적자가 GDP의 약 7% 수준인데, 이를 GDP의 3%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재정 적자가 줄어들지 않으면 부채에 대한 공급-수요 문제가 발생하여 통화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이는 일반적인 경기 침체보다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 해결책은 그의 첫 번째 동력인 돈, 신용, 부채, 경제 순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있다.  과도한 부채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통화 질서의 붕괴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적으로 협력하여 공동의 이익을 추구

달리오는 국내 문제 해결을 위해 당파를 초월하여 협력하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는 그의 두 번째 동력인 내부 갈등과 관련된 것이다. 좌우 이념 및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을 줄이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함으로써 국내 정치 질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적으로 미국의 힘을 활용하되, 건설적인 협상을 통해 질서 있는 방식으로 문제 해결

국제 문제에 있어서는 미국의 강점을 활용하되, 나쁜 갈등과 비효율적인 정책이 큰 혼란을 야기하지 않도록 질서 있는 방식으로 협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는 그의 세 번째 동력인 거대한 세계 질서와 관련된 것이다.  특히 관세 문제와 관련하여, 그는 단순히 세수 확보나 제조업 및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를 추구하는 방식이 실용적이고 안정적이며 상호 문제 해결을 위한 질 높은 협상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현재까지의 관세 시행은 “매우 파괴적(very disruptive)”이었다고 평가하며, 혼란스럽고 파괴적인 방식은 큰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다자주의에서 일방주의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제적 갈등을 방지하고, 기존 질서의 파괴적인 붕괴를 막기 위해 건설적인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인터뷰 영상

해방 80주년 특집

카이로 선언과 한반도

최신 뉴스를 받아 보세요

새로운 소식 알림받기